Spring 입문

해당 글은 DEPth IT 연합 프로젝트 동아리 활동의 일환인 서버 스터디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컴포넌트 스캔https://wnehgus101.tistory.com/entry/Study-Plus-2-Week1-2-심화-지식-의존성-주입-Http-상태코드-Getter-and-Setter Week1, 2 심화 지식 (의존성 주입, Http 상태코드, Getter and Setter)" data-og-description="Study Plus는 스터디를 진행 한 후에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낀 부분과 더 공부가 필요한 부분, 스스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추가적인 공부를 진행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추가하는 Study" data-og-host="wnehgus101.tistory.com" data-og-..
해당 글은 DEPth IT 연합 프로젝트 동아리 활동의 일환인 서버 스터디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기능을 테스트하는 경우에 main 메서드를 통해서 실행하거나, 웹 어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를 통해서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반복 실행하기도 어렵고 여러 테스트를 한번에 진행하기도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자바는 이러한 문제들을 JUnit이라는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해결합니다.테스트에서 똑같이 패키지를 만들고 테스트할 클래스 이름 + Test라고 class를 새로 만들어줍니다. 해당 클래스에서 이미 만든 class를 test합니다. 아래는 실제로 만든 테스트 코드입니다. 이전 3-1에서 작성한 MemoryMemberRepository 클래스를 테스트합니다. pac..
해당 글은 DEPth IT 연합 프로젝트 동아리 활동의 일환인 서버 스터디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웹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해당 사진은 일반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계층 구조입니다. 각 계층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컨트롤러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해당 요청에 맞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사용자의 액션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다시 반환합니다. 주로 라우팅과 비즈니스 로직의 흐름을 관리합니다. 서비스컨트롤러가 요청을 받으면 해당 부분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 실질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곳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컨트롤러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능들이나 복잡한 로직들을 처리합니다. 주로 도메인 로직을 구성하고 데이터 조작을 담당합니다..
Study Plus는 스터디를 진행 한 후에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낀 부분과 더 공부가 필요한 부분, 스스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추가적인 공부를 진행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추가하는 Study입니다. 빠샤🔥 의존성 주입 Spring에서 지원하는 핵심 프로그래밍 모델 중에 하나인 의존성 주입은 외부에서 두 객체 간의 관계를 정해주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인터페이스를 두어서 클래스 사이에서는 의존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하고 런타임시에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서 유연성을 가지게 합니다. 그리고 두 객체 간의 의존성을 맺어주는 것을 의존성 주입이라고 합니다. public class Animal { private Dog dog; public Animal(){ this.dog = new Dog(); } } 해..
Study Plus는 스터디를 진행 한 후에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낀 부분과 더 공부가 필요한 부분, 스스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추가적인 공부를 진행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추가하는 Study입니다. 빠샤🔥 Maven vs Gradle Maven과 Gradle 모두 빌드 도구입니다. 두 빌드 도구 모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필요한 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로드하고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설정 파일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의 대한 정보, 종속성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관리해줍니다. 또한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java 코드와 각종 xml, jar 파일등을 WAS이나 JVM이 인식 가능하게 해주는 과정을 진행해 줍니다. "빌드 자동화 도구" 라고 할수 있겠네요! 빌..
해당 글은 DEPth IT 연합 프로젝트 동아리 활동의 일환인 서버 스터디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적 콘텐츠스프링에서는 static 폴더 하위에 파일이 저장되어야 정적 콘텐츠로 사용가능합니다. 정적 콘텐츠는 만들어진 파일을 그냥 서버에 전달해 주는 것이 끝입니다. 이후에 주소에 해당 파일명을 추가하여서 적으면 화면의 해당 파일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래는 html 파일을 예시로 하나 만들어서 실행한 결과입니다.위와 같이 정적콘텐츠 입니다. 라는 문구를 출력하는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실제로 정적 콘텐츠 파일인, http://localhost:8080/hello-static.html로 접속하였을 때 나온 화면입니다.실행 과정먼저 웹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hello-static..
도멩
'Spring 입문'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